1. (투고 내용) 「한국예술문화」에 투고하는 논문은 기획 테마로 지역문화, 지역예술, 문화콘텐츠, 문화산업과 관련된 내용으로 기존에 출판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이어야 한다. 2. (투고 자격) ① 논문 투고는 박사급(박사과정 포함) 이상의 전문 연구자를 원칙으로 하며, 그 외 문화예술 분야에 3년 이상 종사한 자는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. ② 동일인이 본지에 2회 연속으로 투고하여 게재할 수 없다. 단, 기획 및 특집 논문은 예외로 한다. 3. (접수 시기) 논문 접수는 수시로 하나, 간행 30일 전에 도착한 논문에 한해 심사 자격을 부여한다. 4. (발행일) 본지는 3월 30일, 9월 30일 연 2회 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 5. (투고 형식) 1) 분량 : 논문 분량은 200자 원고지 100~120매 정도(A4 13~15쪽)를 원칙으로 한다. 2) 편집 형식 ① 논문의 편집은 게재 결정 후 편집위원회에서 본지 체제에 맞게 편집하므로 다음의 사항만 준수하여 투고한다. ② 편집 용지 : 용지 A4, 여백: 위 20, 아래 15, 왼쪽⋅오른쪽 30, 머리말⋅꼬리말 15. ③ 문단 모양 : 줄 간격 160, 정렬 양쪽 정렬, 문단 여백 0, 들여쓰기⋅내어쓰기 없음. ④ 글자 모양 : 크기 10, 글꼴 신명조, 장평 100, 자간 0. ⑤ 문단의 첫 부분은 빈칸을 두지 않는다. ⑥ <표 제목>은 관련 표 위에, <그림 제목>은 관련 그림 밑에 명시하며, 표와 그림의 크기는 가로가 10.0cm를 넘지 않도록 한다. ⑦ 논문 본문에서 인용 문헌을 표기할 경우 저자가 2명 이하인 경우는 모두 밝히고, 3인 이상인 경우는 ‘○○○ 외(2000)’로 표기한다. ⑧ 주석은 각주만 인정하며, 각주의 번호는 1), 2), 3)의 형식을 취한다. 3) 논문 체계 : 투고 논문은 아래 체계에 맞추어 작성한다. 국문 제목 - 저자명 - 국문 초록 - 국문 주제어 - 본문 - 참고문헌 - 영문 제목 - 영문 필자명 - 영문 초록 - 영문 주제어 - 필자 정보(소속기관, 전공, 우편번호 및 주소, 전화 및 휴대폰, 전자우편) ※ 논문 게재 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필자 정보 가운데 소속 기관 및 전자 우편만 명시함. 4) 저자 표시 ① 논문 투고자는 투고자 이름의 오른쪽 위에 별표 첨자를 붙이고, 각주에서 소속기관 및 전공을 밝힌다.예) ○○대학교(국문학 전공) ②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에는 논문 저술의 기여도에 따라 제1저자, 제2저자 등으로 각주에서 밝히고 그 뒤에 소속기관과 세부 전공을 ( )로 명시한다. 명시하지 않은 논문에 대하여는 공동저자로 간주한다.예) 제1저자(○○대학교, 문학전공), 제2저자(◇◇대학교, 철학 전공) 5) 초록 및 주제어 : 투고 시 국문 및 영문 초록과 국문 및 영문 주제어를 첨부하여야 한다. 초록은 400자 내외로 논문의 주제를 정확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명료하게 작성하며, 주제어는 논문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10개 이내의 단어로 선정한다. 단, 외국어로 된 논문은 국문 초록과 주제어를 반드시 첨부하여야 한다. 6) 참고문헌 ①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언급된 자료에 한한다. ② 참고문헌의 성격에 따라 기본 자료와 참고 자료(논문 및 단행본)로 나누고, 각 자료를 국문⋅영문⋅기타 언어 순으로 배열하며, 그 순서는 각 언어의 자모순을 따른다. ③ 단행본의 경우는 저자명(출판 연도), 서명, 출판사, 쪽 순으로 명시한다. ④ 논문의 경우는 필자명(발표연도), 논문명, 게재지명, 권호수, 쪽 순으로 명시한다. ⑤ 논문명은 「 」, 단행본이나 게재지명은 『 』를 사용하고, 각 내용은 반점(,)으로 구별한다. 예) 송미숙(2011), 「예악사상에 내재한 악가무의 양상」, 『한국예술문화연구』 1, 12-24. ⑥ 역서의 경우는 원서 명을 먼저 명시하고 역서 명을 그 뒤에 밝힌다. 6. (논문 제출 방법) ① 논문은 편집위원회로 ‘한글 2010’ 이상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본지가 요구하는 논문 작성 형식에 맞추어서 제출하여야 한다. ② 본지가 요구하는 논문 작성 형식에 맞지 않는 논문을 제출하였을 경우 받게 되는 불이익은 전적으로 논문 투고자의 책임임을 밝혀둔다. ③ 논문은 전자우편 및 한국연구재단 투고시스템으로 접수한다. 7. (논문 심사) ① 접수된 원고는 본지의 심사를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, 탈락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. ② 심사 결과, 심사위원으로부터 ‘수정 후 게재’ 판정을 받은 경우, 논문 투고자는 수정확인서를 A4 1쪽 이상으로 제출해야 한다. 8. (교정) 내용의 수정을 요하는 경우가 아니면 교정쇄를 필자에게 다시 보내지 않으므로, 최초 투고 시 원고에 오자나 탈자가 없도록 완료된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. 9. (기타) 다양하고 균등한 논문 발표를 위해 이전 발간호의 심사에서 탈락한 논문의 재투고는 1회로 제한한다. 메뉴타이틀: 1. (투고 내용) 「한국예술문화」에 투고하는 논문은 기획 테마로 지역문화, 지역예술, 문화콘텐츠, 문화산업과 관련된 내용으로 기존에 출판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이어야 한다. 2. (투고 자격) ① 논문 투고는 박사급(박사과정 포함) 이상의 전문 연구자를 원칙으로 하며, 그 외 문화예술 분야에 3년 이상 종사한 자는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. ② 동일인이 본지에 2회 연속으로 투고하여 게재할 수 없다. 단, 기획 및 특집 논문은 예외로 한다. 3. (접수 시기) 논문 접수는 수시로 하나, 간행 30일 전에 도착한 논문에 한해 심사 자격을 부여한다. 4. (발행일) 본지는 3월 30일, 9월 30일 연 2회 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 5. (투고 형식) 1) 분량 : 논문 분량은 200자 원고지 100~120매 정도(A4 13~15쪽)를 원칙으로 한다. 2) 편집 형식 ① 논문의 편집은 게재 결정 후 편집위원회에서 본지 체제에 맞게 편집하므로 다음의 사항만 준수하여 투고한다. ② 편집 용지 : 용지 A4, 여백: 위 20, 아래 15, 왼쪽⋅오른쪽 30, 머리말⋅꼬리말 15. ③ 문단 모양 : 줄 간격 160, 정렬 양쪽 정렬, 문단 여백 0, 들여쓰기⋅내어쓰기 없음. ④ 글자 모양 : 크기 10, 글꼴 신명조, 장평 100, 자간 0. ⑤ 문단의 첫 부분은 빈칸을 두지 않는다. ⑥ <표 제목>은 관련 표 위에, <그림 제목>은 관련 그림 밑에 명시하며, 표와 그림의 크기는 가로가 10.0cm를 넘지 않도록 한다. ⑦ 논문 본문에서 인용 문헌을 표기할 경우 저자가 2명 이하인 경우는 모두 밝히고, 3인 이상인 경우는 ‘○○○ 외(2000)’로 표기한다. ⑧ 주석은 각주만 인정하며, 각주의 번호는 1), 2), 3)의 형식을 취한다. 3) 논문 체계 : 투고 논문은 아래 체계에 맞추어 작성한다. 국문 제목 - 저자명 - 국문 초록 - 국문 주제어 - 본문 - 참고문헌 - 영문 제목 - 영문 필자명 - 영문 초록 - 영문 주제어 - 필자 정보(소속기관, 전공, 우편번호 및 주소, 전화 및 휴대폰, 전자우편) ※ 논문 게재 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필자 정보 가운데 소속 기관 및 전자 우편만 명시함. 4) 저자 표시 ① 논문 투고자는 투고자 이름의 오른쪽 위에 별표 첨자를 붙이고, 각주에서 소속기관 및 전공을 밝힌다.예) ○○대학교(국문학 전공) ②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에는 논문 저술의 기여도에 따라 제1저자, 제2저자 등으로 각주에서 밝히고 그 뒤에 소속기관과 세부 전공을 ( )로 명시한다. 명시하지 않은 논문에 대하여는 공동저자로 간주한다.예) 제1저자(○○대학교, 문학전공), 제2저자(◇◇대학교, 철학 전공) 5) 초록 및 주제어 : 투고 시 국문 및 영문 초록과 국문 및 영문 주제어를 첨부하여야 한다. 초록은 400자 내외로 논문의 주제를 정확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명료하게 작성하며, 주제어는 논문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10개 이내의 단어로 선정한다. 단, 외국어로 된 논문은 국문 초록과 주제어를 반드시 첨부하여야 한다. 6) 참고문헌 ①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언급된 자료에 한한다. ② 참고문헌의 성격에 따라 기본 자료와 참고 자료(논문 및 단행본)로 나누고, 각 자료를 국문⋅영문⋅기타 언어 순으로 배열하며, 그 순서는 각 언어의 자모순을 따른다. ③ 단행본의 경우는 저자명(출판 연도), 서명, 출판사, 쪽 순으로 명시한다. ④ 논문의 경우는 필자명(발표연도), 논문명, 게재지명, 권호수, 쪽 순으로 명시한다. ⑤ 논문명은 「 」, 단행본이나 게재지명은 『 』를 사용하고, 각 내용은 반점(,)으로 구별한다. 예) 송미숙(2011), 「예악사상에 내재한 악가무의 양상」, 『한국예술문화연구』 1, 12-24. ⑥ 역서의 경우는 원서 명을 먼저 명시하고 역서 명을 그 뒤에 밝힌다. 6. (논문 제출 방법) ① 논문은 편집위원회로 ‘한글 2010’ 이상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본지가 요구하는 논문 작성 형식에 맞추어서 제출하여야 한다. ② 본지가 요구하는 논문 작성 형식에 맞지 않는 논문을 제출하였을 경우 받게 되는 불이익은 전적으로 논문 투고자의 책임임을 밝혀둔다. ③ 논문은 전자우편 및 한국연구재단 투고시스템으로 접수한다. 7. (논문 심사) ① 접수된 원고는 본지의 심사를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, 탈락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. ② 심사 결과, 심사위원으로부터 ‘수정 후 게재’ 판정을 받은 경우, 논문 투고자는 수정확인서를 A4 1쪽 이상으로 제출해야 한다. 8. (교정) 내용의 수정을 요하는 경우가 아니면 교정쇄를 필자에게 다시 보내지 않으므로, 최초 투고 시 원고에 오자나 탈자가 없도록 완료된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. 9. (기타) 다양하고 균등한 논문 발표를 위해 이전 발간호의 심사에서 탈락한 논문의 재투고는 1회로 제한한다.